강화동종 조선 숙종14년(1688)에 유수 윤지완이 소종(小鐘)으로 주조한 것을 숙종 37년 (1711)에 유수 민진원이 현재와 같은 종으로 정족산성에서 재주조한 종이다. 전통적인 한국 종의 형태에서 벗어나 옆띠를 몸체의 중앙에 두어 위(上), 아래(下)로 구분하였으며 어깨 부분은 턱이져 있다. 꽃무늬로 장식한 독립된.. 기타/강화도 2009.08.06
광성보 사적 제 227호. 강화해협을 지키는 중요한 요새로, 강화 12진보(鎭堡)의 하나이다. 고려가 몽골의 침략에 대항하기 위하여 강화도로 천도한 후에 돌과 흙을 섞어 해협을 따라 길게 쌓은 성이다. 조선시대 광해군때 다시 고쳐 쌓았으며, 1658년(효종 9)에 강화유수 서원이 광성보를 설치하였다. 그 후 숙종 .. 기타/강화도 2009.08.06
덕진진 이 진은 원래 고려시대에 강화해협을 지키던 외성의 요충지로 조선 효종 7년(1656)에 축조된 것이다. 조선 숙종 5년(1679)에 축조된 덕진돈대, 남장포대, 덕진포대가 이 진에 소속되어 있었다. 고종 3년(1866) 병인양요시 프랑스 극동함대와 고종 8년(1871) 신미양요시 미국의 아세아 함대화 치열한 격전을 벌.. 기타/강화도 2009.08.06
초지진 사적 제225호로 강화의 동남단 길상면 초지리에 위치하고 김포시 대명리와 마주 보이는 곳이다. 1656년 진이 설치되고 1679년 초지돈, 장자평돈, 섬암돈이 축조되어 이 진에 소속되었다. 6문의 포가 설치된 황산포대와 12문의 포가 설치된 진남포대가 있다.고종3년(1866) 10월 천주교 탄압을 구실로 침입한 .. 기타/강화도 2009.08.06
삼랑성(정족산성) 이 성은 단군의 세 아들이 쌓았다는 전설이 전해 내려오고 있으며,이 성의 이름을 삼랑성 또는 정족산성이라고도 한다. 성의 길이는 2,300m에 달하며 자연활석을 이용하여 축조된 성이다. 성내에는 고구려 소수림왕 11년 (3841)에 창건 된 유서깊은 전등사가 있으며 고려 고종 46년(1259)에는 이 성안에 궁궐.. 기타/강화도 2009.08.06
전등사 고구려 소수림왕 11년(381) 아도화상이 창건하였다 전하며, 1916년 수리시 발견된 양간록에 의하면 선조 38년 (1605) 건물 일부 및 광해군 6년(1614)에 또다시 불이나 소실되었던 것을 재축하여 광해군 13년(1621)에 완공하였다 한다. 전등본말사지의 기록에는 철종 6년(1855) 규영화주가 중건하였다는 기록이 전.. 기타/강화도 2009.08.06
하점면 5층석탑 쓰러져 파손되었던 것을 1960년에 각 부재를 수습하여 보수 재건하였다. 그러나 파손이 심하고 없어진 부재도 많아 현재는 3층 이상의 옥신(屋身)과 5층 옥개석(屋蓋石), 그리고 상륜 부재가 모두 유실된 상태다. 이 탑 주위에는 고려시대 사찰인 봉은사가 있었다 전하나 현재는 없어지고 터만 남아있다... 기타/강화도 2009.08.06
하점면 석조여래입상 고려시대의 석조여래입상으로 높이 282cm의 두꺼운 화강암 판석의 부조상이다. 머리에 표현된 중앙계주라든가, 비만한 얼굴, 목이 짧아서 어깨가 올라붙어 결과적으로 움츠린 듯한 자세, 형식적이며 간략하게 처리된 옷주름선 등은 고려시대 불상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신체에 비해 머리.. 기타/강화도 2009.08.06
강화 지석묘 고려산(436m)능선을 중심으로 약 120여기의 지석묘가 분포되어 있는데, 이 지석묘의 크기는 높이260cm, 개석의 길이 710cm, 너비550cm이며 덮개석의 무게는 약80,000kg이나 된다. 기타/강화도 2009.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