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진은 원래 고려시대에 강화해협을 지키던 외성의 요충지로 조선 효종 7년(1656)에 축조된 것이다.
조선 숙종 5년(1679)에 축조된 덕진돈대, 남장포대, 덕진포대가 이 진에 소속되어 있었다.
고종 3년(1866) 병인양요시 프랑스 극동함대와 고종 8년(1871) 신미양요시 미국의 아세아 함대화 치열한 격전을 벌인 곳이다.
그간에 무너진 성곽과 문루를 1976년 복원 정화 하였다.
덕진진에는 강화제일의 남장포대와 덕진돈대가 있으며 바닷가에는 경고비가 있다.
남장포대에는 15문의 대포가 있었다고 전하는데 현재는 7문을 전시중이다. 남장포대를 지나 계단을 올라가면 병인양요 당시 프랑스군이 강화읍을 점령하여 양헌수 장군부대가 야음을 틈타 강화로 들어왔던 덕진돈대가 있고, 덕진돈대를 지나 왼쪽아래 계단으로 내려가면 바다를 향해 비석이 서 있는데 이것이 경고비이다. 바다의 척화비라고도 불리며 외국의 배가 우리해역으로 들어오지 말 것을 경고하는 비석으로 염하강을 지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