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3.69m. 보물 제464호.
이 석탑은 2층기단 위에 3층탑신을 쌓은 전형적인 일반형 석탑이다.
이곳 흥법사 옛터는 일찍이 고려 초기의 진공대사탑(眞空大師塔, 보물 제365호, 현재 국립중앙박물관 소재)과
진공대사탑비의 귀부(보물 제463호)가 있고, 그밖에도 높이 약 3m, 길이 약 60m의 석축을 비롯하여
문지(門址)와 초석들이 산재하여 주목되고 있는 곳이다. 석탑은 밭 가운데에 서 있는데 경작으로 인하여 지대석이 일부 드러나 있다.
지대석 위에는 하대석과 그 위의 면석을 한 돌로 만들어 4석(石)으로 구성한 하층기단이 있다.
이 기단의 각 면에는 우주(隅柱 : 모서리기둥)나 탱주(撑柱 : 받침기둥)의 모각(模刻)이 없이 각 면 3구씩의 안상(眼象)이 있고 안상 내에는 지선(地線)에서 꽃모양의 무늬가 솟아 있어 고려시대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